6천6백만 년 후 동물이 진화한다면?

국립과천과학관에서 6천6백만 년 후 미래
변화한 지구 환경과 동물의 진화를
과학적인 이론에 맞춰 연구한 전시를 보고왔음
(벌써 딱 한 달밖에 남았다길래 후다닥 다녀옴)
생각보다 드라마틱한 진화는 돋보이진 않았지만
나름의 과학적인 시나리오를 읽어보니 꿀잼이었음
시작은 기존의 1차~5차 대멸종으로 환경과 생명의
변화를 되새겨보는 공간임
전시의 배경이 되는 6차 대멸종의 원인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지만 대체로 전시의 교훈으로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와 이상기후로 인한 경각심을 가지자는 것으로 볼 때 인류 때문이라는 걸 암시하는 거 아닌가 싶었음
해양 존의 돌고래가마우지(좌)와 바다악어(우)
지구는 다시 판게아가 형성되어 살 던 곳이 바다가 된 가마우지와 악어는 바다환경에 적응하여 해양포유류처럼 해양조류와 해양파충류로 진화함
지느러미는 날개나 팔다리가 변한 상사기관임
생각보다 모형의 조형이 디테일하다!
생태계는 시간대가 중요해서 존마다 시간이 설정
숲 존은 깊은밤 야행성 동물들의 모습이 돋보였고
이 전시의 제일 예쁜 하이라이트 공간이었음
늑대악어거북과 폭군거위의 대치상황(좌)
무지개길달리기새와 검은숲늑대의 사냥(우)
단순히 모형을 세워놓는게 아니라 주어진 환경 속
동물이 서로 얽혀있는 시나리오대로 씬이 연출됨
예를들어 폭군거위의 강한 부리에 살아남기위해
늑대악어거북이 크고 단단해졌다든가~
진화가 포켓몬 디지몬처럼 변하는게 아니라
주어진 환경과 생태에 적응하고 살아남는 과정임
수렴진화, 공진화, 의태 등 진화이론으로 설계됨
대공동의 고립된 환경에서 빙하기-해빙기-갈수기-우기 등 4계절이 형성된 먹고 먹히는 생태계
사막 존의 낙타처럼 혹이 생긴 사막혹등삵(좌)
화원분지 존의 어우러사는 미래 초식동물들(우)
마지막 내가 미래동물을 상상해보는 영상 공간인데 핑크빛 사막 푸른 초원, 몽환적인 숲의 환경이 돌아가며 내가 직접 상상한 미래동물을 조합해서 띄울 수 있음 아이들이 제일 재밌어하는 공간임